무한공간

나섬이, 날으는 호랑이 비호(丕虎, BIHO)

ㅋㅌㅌ 2018. 8. 17. 21:02

 

 

배재대 마스코트 캐릭터 나섬이

 

[배재대] 배재대학교 호랑이 마스코트 '나섬이'
모티브: 배재대학교 상징동물 '호랑이'
탄생배경: 배재대학교를 상징하는 호랑이를 귀여운 마스코트를 제작하여 더욱더 친숙하고 학생 친화적인 대학이미지 구축
종류: 전체모집단위 및 기본이미지 10종
이름선정: 내부 공모전 진행하여 선정

배재대 호랑이 캐릭터 - 나섬이
배재대는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는 인재상 구현에 힘쓰고 있습니다. (ft 나섬이)


배재대학교가 배재학당 창립 140주년을 맞아 2025학년도 신입생부터 학생증 디자인을 새롭게 변경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된 학생증은 배재대 상징색을 바탕으로 마스코트인 '나섬이'를 도입해 대학 정체성 확보와 학생 만족도에 기여하도록 제작했다.

 

 

 

 

 

 

 

 

날으는 호랑이 비호(丕虎, BIHO)

배재대학교 응원단 마크

 

'크는 호랑이' '성장하는 호랑이'

丕虎! Forever....!

 

‘비호(飛虎)’는 일본의 국권 침탈 야욕이 본격화돼 가던 1907년부터 의병부대를 이끌며 탁월한 기동력으로 일본군 헌병대와 정규부대에 큰 피해를 준 홍범도 장군에게 일본군들이 붙인 별명으로 ‘나는 호랑이’를 의미한다. 마치 나는 호랑이와 같다고 하여 ‘태백산 호랑이’로 불렸습니다.

 

호랑이는 한국의 전설과 우화속에 많이 등장하는 동물로서 친근감과 용맹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배재의 상징인 호랑이는 배재인의 인격과 학문을 바탕으로 하는 친근감, 기백, 용감성을 상징해주고있다.

 

 

 

 

1884년부터 등장한 호랑이 마크

1885년 (고종 22년) 배재학당 개교 이전부터 호랑이 마크를 사용.

(배재학당 홈피)

 

 

 

 

 

배재대학교 연자광장 호랑이 조형물

 

 

 

 

 

구 배재대학교 마크 (호랑이 마크)

현재 'SMART' 배재대학교가 브랜드 네이밍 전략이다.

 

 

1884년부터 사용한 배재대학교 호랑이 마크

 

 

 

 

 

 

 

 

 

 

 

 

 

 

 

 

 

 

 

 

 

 

 

 

 

 

배재학당 배재대학교 학술지원센터 (서울 정동)

 

 

 

 

 

1885. 08. 03 배재학당 (Pai Chai Academy, 培材學堂) 창립 (설립자 아펜젤러 H. G. Appenzeller)

1886. 04 .01 초대학당장 아펜젤러 취임

1886. 06. 08 고종황제로부터 '배재학당' 현판 하사

1895. 09. 01 배재대학부 (Pai Chai College) (영문학과, 국한문학과, 신학과)

1896. 04. 07 배재학당내에서 「독립신문」발간(서재필)

1896. 11. 30 배재협성회(학생회) 조직(지도 서재필)

1925. 09. 17 조선총독부에 의해 배재학당 교명 폐지

1937. 03. 03 배재중학교(5년)로 개칭

1951. 08. 21 배재중학교(3년) 및 배재고등학교(3년)로 개편

1955. 04. 26 대전보육학원 설립 (설립자 허길래, Clara Howard)

1992. 03. 13 배재대학교 (Pai Chai University)

 

1. 1895. 09. 01 배재대학부 (Pai Chai College) (영문학과, 국한문학과, 신학과)

2. 1951. 08. 21 배재중학교(3년) 및 배재고등학교(3년)로 개편

 

배재학당 (Pai Chai Academy)  → 배재대학부(Pai Chai College) → 배재고등학당 → 배재중학교 → 배재고등학교 → 배재대학교(Pai Chai University)

 
... [팩트체크] 배재대학부 1895년 > 배재고등학교 1951년
 
 
 

 

배재는 배양영재(培養英材)의 줄임말로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란 뜻을 담고 있으며, 배재대는 설립 당시부터 대학(PAI CHAI COLLEGE)으로 출발했다. 설립 초기부터 개방화된 전통을 이어받아 배재대는 40개 나라의 243개 대학 및 기관과 자매결연을 맺고 활발하게 교류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현재 74개 나라에서 유학 온 726명의 외국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1885년 8월 3일,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배재학당을 설립했다. 고종황제는 1887년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뜻으로 배재학당(培材學堂)이란 이름을 하사하였다. 1885년 헨리 아펜젤러가 세운 배재학당을 모체로 하여 1895년 배재대학부(Pai Chai College)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영문과 106명, 국한문과 60명, 신학과 6명의 입학으로 정규 대학과정이 시작되었다.

 

배재대는 교육부의 '잘 가르치는 대학'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대전 유일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학과중점형, 고용노동부의 IPP형 일학습병행제 및 듀얼공동훈련센터, 대학일자리본부(국내취업거점대학), 청해진대학 운영기관(해외취업거점대학), 

청년 TLO 육성사업

에 잇달아 선정돼 양질의 교육과 취·창업 인프라를 확충했다.

 

"의심할 나위도 없이 조선에서 가장 교육적, 도덕적, 지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고 지금도 행사하고 있는 학교는 배재대학이다." 

-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388쪽. 이사벨라 비숍(Isabella Bird Bishop)

 

Let's do it together 'PAI CHAI Village'

 

Let me inside make me stay right beside you, PAI CHAI Univ. 

 

배재대학교는 본질적 대학교육을 회복하고, 리버럴아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무릇 캠퍼스 천하를 읽지 않은 자와는 '배재대'를 논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