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거하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아버지는 배재학당 설립, 아들은 배재대 학장, 딸은 이화여대 학장
1858년 2월 6일 ~ 1902년 6월 11일)는 1885년 조선에 입국하여 활동한 미국 감리교(북감리회) 선교사이다. 그는 선교사가 설립한 최초의 근대사학인 배재학당을 세운 설립자이며, 구한말 한반도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큰 업적을 남겼다.
1882년 펜실베이니아 주 프랭클린앤드마샬대학을 거쳐 그해 뉴저지 주 드류 신학교를 졸업했다. 1884년 미국 감리회 해외선교부의 한국선교 결정에 따라 1885년 4월 2일 한국에 입국하여 한국선교회 및 배재학당을 설립했다. 1887년 한국선교부 감리사로 있으면서 학교와 병원 등에 복음전도의 여러 사업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29일 서울에 벧엘 예배당(지금의 정동제일교회)을 설립했으며 1888년에는 H. G. 언더우드, G. H. 존스 등과 함께 지방을 순회하면서 전도활동을 벌였다. 1890년 한국성교서회(韓國聖敎書會)를 창설하여 1892년 회장직을 맡는 등 성서번역사업에 큰 기여를 했다.
1895년에 월간지 〈한국휘보 The Korean Repository〉의 편집일을 맡았으며, 1897년에는 한국말로 된 최초의 종교신문인 〈죠션 크리스토인회〉를 창간하여 선교사업 외에 민족계몽운동에도 조력했다. 1902년(광무 6) 목포에서 열리는 성서번역자회의에 참석하러 가던 중 군산 앞바다에서 그가 탄 배와 일본 상선이 충돌하여 익사했다. 큰아들은 배재학교 교장을, 큰딸은 이화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아버지
H. G. 아펜젤러는 배재학당 설립, 아들은 배재대 학장, 딸은 이화여대 학장. 딸 Alice R. 아펜젤러는 1939년 김활란 부교장에게 교장직을 넘겨주고 1940년 본국으로 돌아갔다.
아펜젤러 기념관
대전 서구 배재로 155-40 (우)35345
전통적으로 학교 건물의 전형으로 여겨지던 네모 반듯한 획일적인 모습에서 벗어나고 있다.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설계 패턴을 완전히 바꾼 획기적 건축물들도 속속 등장하면서 대학의 자랑이 되고있다. 대표적인 곳이 배재대학교 교정이다.
2002년 배재대는 ‘G-배재 2015’라는 마스터플랜으로 ‘미래 캠퍼스, 열린 캠퍼스, 공원 캠퍼스’를 추진한다. 이 때부터 세워진 건물이 2005년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본상과 특선을 수상한 배재대 예술관과 국제교류관 올해 대상을 수상한 국제언어생활관이다. 한 대학 캠퍼스의 건축물이 모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수상하는 진기록을 보유하게 된 셈이다. 가히 배재대 캠퍼스는 현대 건축물의 향연장이라고 할 만 하다.
1천200여개의 철빔으로 연결시켜 만듬.
내부를 먼저 짓고 외관을 씌운 공법.
개교 125 주년을 기념해 지난 2010년 지은 '아펜젤러 기념관'입니다.
이 건물은 아예 형태가 없습니다. 학교측은 비정형 건축물이라고 말합니다.들쭉날쭉 여러 개의 지붕을 통해 비상하는 물체의 역동성을 느낄 수 있으나 딱 잡아 이 건물과 모양이 비슷한 물체는 머리에 떠오르지 않습니다.
아펜젤러 기념관은 1천200여개의 철빔으로 연결시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은 보통 건물을 지을 때 외관을 짓고 내부를 채우잖아요. 저 건물은 내부를 먼저 짓고 외관을 씌운 공법이 이용되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대학 건물들이 추구해왔던 4각형의 건물 구조와는 달리 배재대학 건물은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룬 예술성과 건축미를 겸비한 건물구조라는 점에서 아주 이색적이다.
아펜젤러 기념관앞에는 하늘에서 내려온 정원 '킴스가든'과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 배재대학교 교훈이 있다. 학생들이 모임과 행사를 즐기는 배재대학교 캠퍼스 랜드마크 이기도 합니다.
#아펜젤러, 1885년 4월 조선 입국해 배재학당·정동제일교회 세운 '첫 선교사'
#고손자 로버트 세필드 지난 10일 배재대 찾아… 아펜젤러 동상·기념관 등 방문
140년 전 배재학당 세운 아펜젤러 고손자, 배재대 찾아 발자취 되짚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6/0000128455?sid=102
140년 전 배재학당 세운 아펜젤러 고손자, 배재대 찾아 발자취 되짚어
"140년 전 제자 2명과 방 한 칸에서 시작됐던 배재학당이 한국 신교육·신문화의 발상지로 발돋움해 감격스럽다" 140년 전 조선에 기독교를 전파한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1858-1902)의 고손자(4대손)
n.news.naver.com
배재학당, 설립자 아펜젤러 선교사 탄생 160주년 맞아
배재대에 따르면, 학교법인 배재학당 내 아펜젤러기념사업회가 지난 25일 서울 정동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앞에서 ‘아펜젤러 동상 제막식 및 감사예배’를 거행했으며, 26일 학술포럼이 진행된다.
이번 동상 제막식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교육기관 배재학당 설립자 헨리 G. 아펜젤러(1858년 2월 6일~1902년 6월 11일) 선교사 탄생 1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헨리 게하트 아펜젤러(Henry Gerhart Appenzeller)의 순교 120주기를 추모하는 행사가 2일 배재대학교 아펜젤러기념관에서 추모예배를 시작으로 아펜젤러의 발자취를 따라 서천 아펜젤러순직기념관, 군산 아펜젤러순교기념교회를 방문하는 등 다양하게 진행됐다.
배재대, 아펜젤러 순교 120주기 추모제
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201254
배재대, 아펜젤러 순교 120주기 추모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헨리 게하트 아펜젤러(Henry Gerhart Appenzeller)의 순교 120주기를 추모하는 행사가 2일 배재대학교 아펜젤러기념관에서 추모예배를 시작으로 아펜
www.sisa-news.com
배재대 '명품 건축문화 기행 장소'로 각광
전통적으로 학교 건물의 전형으로 여겨지던 네모 반듯한 획일적인 모습에서 벗어나고 있다.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설계 패턴을 완전히 바꾼 획기적 건축물들도 속속 등장하면서 대학의 자랑이 되고있다.
대표적인 곳이 배재대학교 교정이다. 국내 건축 사상 처음으로 지열을 이용하는 공법을 도입한 '국제교류관'이나 비정형의 아펜젤러관, 곡선형 건물의 '하워드기념관' 등 모든 건물이 성냥갑 모양의 콘크리트 모양과는 기존 건물과는 다르다.
2002년 배재대는 ‘G-배재 2015’라는 마스터플랜으로 ‘미래 캠퍼스, 열린 캠퍼스, 공원 캠퍼스’를 추진한다. 이 때부터 세워진 건물이 2005년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본상과 특선을 수상한 배재대 예술관과 국제교류관 올해 대상을 수상한 국제언어생활관이다. 한 대학 캠퍼스의 건축물이 모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수상하는 진기록을 보유하게 된 셈이다. 가히 배재대 캠퍼스는 현대 건축물의 향연장이라고 할 만 하다.
.2012 녹색건축대전 대상 '국제교류관'
.2011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하워드기념관'
.2007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 '국제언어생활관'
.2006 한국건축가 협회상 '국제언어생활관'
.2006 대한민국 토목건축대상 우수상 '국제언어생활관'
.2005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 세계 건축을 선도할 11대 건축물 '예술관'
.2005 한국건축가 협회상 '국제교류관'
.2005 한국건축문화대상 비주거부문 특선 '국제교류관'
.1999 대전시건축대전 준공건축물 대상 '21세기관'
.1999 대전광역시 좋은 건축물 40선 '21세기관'
... 파리의 랜드마크가 에펠탑이라면 한국 대학의 랜드마크는 배재대 건물들이 아닐까 싶다.
이름이 브랜드가 되는 대학, 'new START' 배재대학교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우는 프리츠커 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 아직 한국 건축물은 수상 실적이 없던데 한번 수상에 도전해 보길..
이름이 브랜드가 되는 대학, smart 배재대학교
풍부한 부대시설
- 부대시설로는 학습실 9실을 비롯해, 세미나실 7실, 인터넷실 14실, 휴게실 13실, 세탁실 10실 등과 체력단련실, 어학실습실이 있다. 근린생활시설로는 학생식당, 교직원식당, VIP식당, 카페테리아, 11타석 규모의 실내 골프연습장, 편의점 등을 갖췄다. 이 기숙사는 무엇보다 실내 골프연습장에 카페테리아와 피트니스 클럽, 인터넷실 등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저렴한 기숙사 생활비
- 배재대는 이번 기숙사 완공으로 기존 시설을 합해 모두 1800여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됐다. 한편, 기숙사 입사비는 호실에 따라 한 학기동안 식사비를 포함해 1인당 53만 5000원∼59만 5000원으로 인근 원룸이나 하숙비의 20% 수준이다.
‘2007한국건축문화대상’ 공동주거부문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
- 배재대학교 기숙사인 ‘배재국제언어생활관(PAITEL)’이 건설교통부와 대한건축사협회가 주관한 ‘2007한국건축문화대상’ 공동주거부문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대학건물이 대상을 수상한 것은 지난 1992년에 상이 제정된 이래 이번 처음이며, 대전·충청지역 건물 중 대상 수상은 역시 최초다.
외국어 연수 받기위해 수백만원씩 들여서 꼭 외국에 나가야 하나요? 우리는 무료로 기숙사에서 어학연수를 받아요
- 배재대가 여름방학을 맞아 교내에 무료 집중어학강좌를 개설해 학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개설과목은 영어와 중국어, 일본어로 모든 수업이 원어민 교수에 의해 진행된다. 영어와 중국어 강좌는 지난 5일부터 오는 30일까지 4주간 진행된다. 모든 수강생은 학교 기숙사에 입사해 오전에는 수업을 듣고 오후에는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수강료는 무료이며, 학생들은 기숙사비와 교재비로 20만6천원을 부담했다.
'무한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흔하디 흔한 대학 식당 (0) | 2018.08.20 |
---|---|
'무림여제' 우슈 서희주 (0) | 2018.08.18 |
나섬이, 날으는 호랑이 비호(丕虎, BIHO) (0) | 2018.08.17 |
정상훈과 손담비 밥동무 (feat 한끼줍쇼 자양동) (0) | 2018.08.16 |
흔하디 흔한 대학생 직무체험 (0) | 2018.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