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공간

'무림여제' 우슈 서희주

ㅋㅌㅌ 2018. 8. 18. 22:22





/사진 SBS 예능 프로그램 '스타킹' 440회 광주 끝장 가족 3인방


8일 방송된 SBS 예능 프로그램 '스타킹'에서는 만났다 하면 싸우는(?) 광주 끝장 가족 3인방의 사연이 공개됐다.


이들은 화려한 우슈 기술로, 영화 속에 한 장면을 보는 듯한 검술을 선보였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들은 우슈 가족으로, 특히 여성 멤버 중 한 명은 우슈 국가대표 서희주였다.


강호동은 "김연아, 손연재를 잇는 차세대 국가대표 미녀 스포츠 스타"라고 소개한 우슈 국가대표 서희주로 청초한 매력을 뽐냈다.


이후 서희주는 무대에서 검술을 뽐냈고, 실력은 물론 외모까지 훌륭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1993년생인 서희주는 제17회 인천 아시안게임 우슈 여자 검술창술전능 동메달, 제13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여자 검술부문 금메달, 제14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여자 투로 검술 금메달 등을 따낸 자타공인 국내 여자 우슈 최강자다.






투로 검술/창술 부문에서 금메달을 노리는 홍일점 '무림여제' 우슈 서희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미모의 우슈 선수 서희주가 근황을 전했다.


서희주는 지난 16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우리도 갑시당"이라는 문구와 함께 사진을 게재했다. 여자 우슈 국내 최강자로 인천아시안게임 우슈 검술창술 동메달, 2017 타이페이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은메달리스트이다.


서희주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우슈 여자 투로의 검술과 창술에 출전한다. 검술이 19일, 창술이 23일 열린다.


서희주 금메달 가즈아~!!!


.....

서희주는 1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자카르타 인터네셔널 엑스포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팔렘방 AG 우슈 투로 여자 장권 검술, 창술 부문에 출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경기전 워밍업 과정에 무릎을 부상해 장지에 오르지 못했다. 남은 일정도 모두 포기해 사실상 서희주의 올해 AG는 끝난 셈이다. 



우슈 (wushu)  


남자: 장권, 남권, 태극권 - 검술/창술

여자: 장권, 남권, 태극권 - 검술/창술


‘무술(武術)’의 중국식 발음인 우슈는 중국 고유 전통 무술의 하나로 불가에서 내공을 쌓고 체력을 다지는 민간 무술로 전승되었다.


우슈는 크게 혼자 권법을 시연하는 '투로'와 겨루기 종목인 '산타'로 나뉜다. 투로는 태권도의 품새나 체조처럼 동작의 완성도를 채점하는 종목이고 산타는 두 선수가 겨루는 종목이다. 장권은 투로에 속한다.


장권의 동작이 섬세하고 유려하다면 남권의 동작은 투박하나 힘찬 느낌이다. 장권은 뱀과 독수리처럼 날카로운 동물들, 남권은 호랑이나 사자처럼 맹수들의 동작을 형상화한 무술이다. 영화배우로는 이연걸이 장권, 성룡이 남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장권과 남권이 빠른 움직임을 보인다는 공통점을 지닌다면, 태극권의 동작에는 다소 여유가 느껴진다는 차이도 있다.


우슈는 현대적 의미의 스포츠로서 ‘경기 우슈’를 말하는 것이다. 동급 체급 선수 간 자유대련으로 승부를 겨루는 경기다. 오늘날 공식 경기에서는 태권도처럼 두 선수가 맞붙어 기량을 겨루는 종목이 아니라 혼자서 무술이 지닌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종목이며, 최근에는 실전성을 위해 산타라는 대련 경기도 일부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일제 강점기 때부터 소개되었는데 ‘18기’라는 이름 등으로 불리었으며 1989년 대한우슈협회가 발족되었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아 경기 대회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태극권(太極拳), 남권(南拳), 장권(長拳)으로 나뉘어 남녀 도합 6개의 금메달을 놓고 기량을 겨루었다.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 처음 참가한 한국은 지난 대회까지 금메달 3개, 은메달 6개, 동메달 9개를 따냈다.



강호동 예능은 대부분 일반인 롱테일법칙 예능코드

 

일반인의, 일반인에의한, 일반인을위한 예능코드. 그리고 사회공익 예능코드

 

현재의 예능 프로그램이 연예인의, 연예인에 의한, 연예인을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정도로 천편일률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타킹’은 3,276명의 스타킹이 배출해낸 일반인들.."일반인의, 일반인에의한, 일반을위한 예능"의 시초이자 기둥이라고 할 수 있다. 1세~100세, 102세 일반인이 예능 주인공인 1박2일 시청자투어3, 책 소개와 사회 기부 달빛프린스. 시민들과 저녁을 같이하는 한끼줍쇼.